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복지론 2장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발전과정

청소년복지론

by 'b' 2016. 7. 27. 12:45

본문

반응형

2장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발전과정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학문적 인식이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상당히 최근이며,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청소년복지가 제기된 것도 불과 얼마 되지 않았다. 따라서 청소년복지의 개념이 명확히 정립되지 못한 채 아동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 청소년정책, 청소년복지정책, 청소년육성정책, 청소년복지활동 등으로 혼동되게 사용되고 있다.

김성아에 따르면, 청소년복지는 가정이나 사회로부터 버려지거나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모든 청소년들의 안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전제한다. 이에 따라 청소년복지활동은 청소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며, 정신적정서적신체적으로 최상의 발달을 기하기 위해서 청소년 자신들에게 직접적으로 또는 가정이나 사회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공되는 모든 사회제도적전문적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청소년복지는 1990년 이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다루어지게 되었다. 국가가 직접 정책적으로 개입하게 된 배경에는 청소년들 둘러싼 환경이 지나치게 열악할 뿐 아니라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각종 사회문제들로 인하여 청소년의 보호와 육성이 단순한 부모의 책임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먼저 핵가족화로 인해 가정양육 기능이 약화되었다. 그리고 이혼이나 여성취업으로 인해 가족이 해체되는 문제도 있으며, 이에 따른 청소년 가장이 증가한 문제도 있다. 미혼모와 그 자녀의 문제도 청소년복지의 관점에서 중요한 대상으로, 더욱이 이들은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큰 난관이다. 이러한 가족적 측면의 문제 말고도 사회적 측면의 문제점도 있다. 첫째, 문화가치의 실종문제이다. 경제성장에 치중된 한국 사회의 변화과정은 생활의 초점이 황금만능주의, 이기주의와 성과주의에 맞춰짐으로써 청소년들에게 성숙한 시민으로서의 윤리에 혼란을 가져왔고, 각종 범죄와 폭력과 윤리적 타락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문제적 상황들에 청소년들이 노출됨에 따라 청소년들에게 규범의 부재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청소년복지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가정적사회적 위험요소로부터 보호받으면서 자신들의 과업이나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그들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아실현은 물론 책임감 있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청소년복지의 출발은 광복 이후부터라고 볼 수 있다. 전쟁 이후에 시작된 구호활동은 주로 노인, 아동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청소년은 배제되어 있었다. 청소년은 아동의 연장선상에서 보호되기 시작했을 뿐이다. 이후 1962년에 아동복리법이 시행되고, 1987년도에 청소년육성법이 제정되기 전까지는 청소년복지의 도입기로 볼 수 있다. 이때에는 청소년복지의 도입을 시작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아동복리법은 요보호아동의 연령을 기존 13세 이하의 아동에서 18세 미만으로 조정하여 일부 청소년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또 미성년자보호법을 제정함으로 미성년자의 보호와 선도가 행해졌다. 근로청소년을 위한 복지사업이 시행되었고, 청소년보호를 위한 중앙기구인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가 설치되었다. 1988년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청소년복지의 전개기로 볼 수 있다. 이때에는 청소년 정책의 대상을 명확히 하고, 청소년복지가 국가의 책임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다루게 되었다. 청소년육성법과 기본법을 제정하였으며, 청소년정책을 수행할 조직과 기구를 정비하였다.

청소년복지는 사회복지의 한 분야로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복지 증신을 목적으로 국가를 비롯한 사회 구성원 전체가 행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